ATOMY CHANNEL 대한민국

translation
Home

칼럼 다가오는 ‘드림 소사이어티’에 대비하자

프린트
다가오는 ‘드림 소사이어티’에 대비하자
오늘날 ‘미래학’이라고 하는 학문이 가장 잘 발달되어 있는 나라는 단연 미국이다. 미국에는 미래학자의 수도 가장 많고, 또 ‘성공학’을 연구하는 학자나 자기계발 전 문가들도 가장 많다. 컨설팅과 강연을 주생산물로 하는 컨설팅 업체가 가장 많은 나라 역시 미국이다. 따라서 자기계발 또는 성공학 강연을 가장 열심히 찾아 듣는 사 람들 또한 미국인들이다. 아마 이런 점들 때문에 미국은 늘 세계를 선도하는 강 대국이 되었으며, 또 백만장자의 수도 가장 많은 나라가 되지 않았나 싶다. 지금도 새로운 개념의 비즈니스와 한 단계 높은 차원의 과학기술은 대부분 미국에서 나오고, 매년 노벨상 수상자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배출된다. 미국과 구소련을 필두로 날카로운 냉전이 한창 전개되던 지난 1960년, 당시 하버드대 교수였던 다니엘 벨 (Daniel Bell)은 엉뚱하게도 이념과 사상의 대립은 더 이 상 끝났다는 주장을 담은 <이데올로기의 종언>이라는 책을 출간한다. 이후 전 세계적으로 산업화가 한창 진행 되던 1973년에는 산업사회에서 벗어나야 한다며 <탈산 업사회의 도래>라는 저서를 발간한다. 한편,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로 칭송받고 있는 피터 드러 커 박사는 일찍이 1969년 <단절의 시대>라는 책을 통 해, 당시 모든 사람들이 육체노동자의 생산성에만 관심 을 기울이고 있을 때 새로운 ‘지식노동자’에 대해 쓰기 시작했다. 또, 1993년에 발간된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라는 저서에서는 다가올 현대사회는 지식사회 또는 지 식기반사회라고 규정하는데, 이 용어는 오늘날 그대로 쓰이고 있다. 당시에는 대중들의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 들며, 시대를 한참 앞서 내다보고 보통사람들이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을 했던 이와 같은 석학들의 예측은 오늘날 현대사회의 단면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또, 1976년 영국 BBC를 통해 방영되고 1977년 책으로 출판된 <불확실성의 시대>라는 저서에서 존 갈브레이 스(John K. Galbraith)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현대 사 회를 ‘사회를 주도하는 지도원리가 사라진 불확실성의 시대’라고 규정했다. 갈브레이스는 “현대는 과거처럼 확신에 찬 경제학자도, 자본가도, 사회주의자도 존재하지 않는 시대이고, 우리가 진리라고 여겨왔던 많은 것들을 비롯해 합리성과 이성에 근거한 담론체계도 의심스러 우며 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혼란스러운 시대”라고 주 장했다. 갈브레이스 교수가 ‘불확실성의 시대’라는 용어를 사용 한 이후 이 용어는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으며, 학문영 역이나 사회영역에 관계없이 널리 일상적으로 수용되고 쓰이게 되었다. 오늘날 학자들은 갈브레이스 교수가 이 용어를 사용한지 이미 40여년이 흘렀는데,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21세기인 현대는 불확실성이 감소되기는 커녕 오히려 증대되어 ‘초불확실성의 시대’ 가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우리에게 친숙한 탁월한 미래학자 중 한 사람인 ‘앨빈 토플러’박사는 인류 역사상 생산방법의 획기적인 변화 와 그에 따른 사회변화를 3단계로 나누어 이를 제1물결, 제2물결, 제3물결이라 칭하고 있다. 명칭이 어떠하든 인 류의 생산방법은 농업혁명, 산업혁명, 그리고 최근의 지 식정보화혁명을 거치면서 변화하고 발전하고 있다. 이 러한 생산방법의 변혁은 기업의 구조 및 비즈니스 방법 과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토플러는 <미래쇼크>, <제3의 물결>, <권력이동>, <전 쟁과 반전쟁>, <부의 미래> 등 일련의 저서에서 미래사 회를 매우 선명하게 그려내고 있는데, 특히 <전쟁과 반 전쟁>에서는 생산방법의 변화가 전쟁의 개념을 바꿔놓 을 것이라고 예언하기도 했는데, 실제 얼마 후인 1990 년 걸프전쟁에서는 처음으로 세상에 전자전(電子戰)이 선보이며 그의 예측이 현실로 나타났다. 그리고 또 하나의 저명한 미래학자인, 존 나이스비트 (John Naisbitt)는 1982년부터 발간된 저서 메가트렌드 (Megatrend) 시리즈에서 정보사회로의 변화, 아시아의 부상과 국제사회에서의 중국의 역할 변화, 국가경제에 서 글로벌 경제로의 변화, 집중화에서 분산화로의 변화 등 1990년대에서 21세기 초까지의 주요 트렌드를 정확 하게 예측했다. 이와 같은 석학들과 미래학자들의 주장을 경청하고 미 래에 대비했던 국가와 기업, 그리고 개인들은 미래의 쇼 크에 넘어지지 않고 더욱 크게 도약하여 세계적인 경쟁 력을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이를 허투루 여긴 국가 및 기업, 개인들은 쇼크를 극복하지 못하고 유명무실하게 되거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게 되었다. 그렇다면 지식정보화 시대를 넘어 이른바 ‘4차 산업혁 명’이 진행되고 있는 작금의 현대사회 이후에는 어떤 사 회가 도래할 것인가? 미래학의 대부로 불리는 짐 데이 토(Jim Dator) 하와이대학 미래전략센터 소장은 정보화 사회 다음엔 ‘드림 소사이어티’라는 해일이 밀려 올 것 이라고 단언한다. 드림 소사이어티란 경제의 주력 엔진 이 ‘정보’에서 ‘이미지’로 넘어가고, 상상력과 창조성이 핵심 경쟁력이 되는 사회를 말한다. 국제정세 분석가들은 이제 세계화 시대는 끝났다고 말 한다. 그러나 우리 한국 국민들은 냉전시대, 산업화시대, 지식정보화시대, 세계화 시대를 불문하고 글로벌 시장 으로 뛰어나갔다. 영토가 좁고 자원빈국인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해외시장을 개척하는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세계 최빈국에서 선진국으로 올 라서게 된 것은 글로벌 시장으로 나아갔기 때문이다. 세 계정세가 아무리 요동쳐도 우리 국민들은 굴하지 않고 글로벌 마인드로 무장하고 전 세계를 누볐다. 애터미는 명실상부한 글로벌 기업이다. 또 네트워크마 케팅의 역사를 새로 쓰겠다고 다짐하고 있다. 그럼 우린 어떻게 해야 하나? 우리는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이 미지, 새로운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는 상상력과 창조성 을 발휘해야 한다. 애터미가 초일류 기업이 되기 위해서 는 초일류 이미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애터미 가 족 모두는 초일류 이미지 메이커가 되어야 한다.
이성연
경제학 박사
1989 경북대학교 경제학 박사 취득
1986 보국훈장 삼일장 수상
1982 미국 브라운대 대학원 경제학 석사 취득
1976~2010 육군사관학교 및 3사관학교 교수 역임
1976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
1972 육군사관학교 졸업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는 [도구]-[호환성보기] 를 클릭하여 호환성보기를 해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로그인

    GLOBAL GSMC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