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OMY CHANNEL 대한민국

translation
Home

미네르바의 부엉이와 갈리아의 수탉

조회수 3,481 촬영일(노출일)
프린트
[이성연의 경제이야기]

미네르바(Minerva)는 로마신화에 나오는 지혜의 여신으로 그리스 신화의 아테나(Athena)에 상응한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로마신화에서 미네르바와 항상 함께 다니는 신조(神鳥)로서 지혜의 상징이다. 원래 미네르바의 신조는 까마귀였다. 오비디우스(Ovidius)의 <변신이야기>에 따르면 까마귀는 미네르바의 비밀을 누설한 죄를 짓고 신조의 자리를 부엉이에게 내주었다 한다.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헤겔(Friedrich Hegel)은 그의 저서 <법철학> 서문에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이 저물어야 그 날개를 편다’라는 유명한 경구를 남겼다. 헤겔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미네르바의 부엉이(곧 지혜, 철학, 또는 학문)가 낮이 지나고 밤에 그 날개를 펴는 것처럼 철학은 앞날을 미리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이뤄진 역사적 현상이 지나간 이후에야 그 뜻이 분명해진다는 의미이다. 헤겔의 경구는 인식이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현실적으로 우리 인간의 욕망은 변화의 속도만큼이나 빨리 움직이지만 그것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인식하고 학문적으로 설명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지난 후에야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간사에서 일어나는 많은 문제는 욕망과 인식의 속도차이에서 발생한다.

우리는 가끔 살아온 삶을 돌아보면서 ‘그때 내가 왜 그런 행동을 했을까? 왜 그런 바보 같은 선택을 했을까? 그때 왜 이런 사실을 알지 못했을까? 지금 알고 있는 것을 그때도 알았더라면 이런 삶을 살지는 않았을 텐데…’라고 후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게 바로 헤겔이 말한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날이 저물어야 날개를 편다’는 경구의 의미가 아닌가 한다. 

역시 인간의 지혜는 변화의 속도와 욕망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가 보다. 그런데 그때 알지 못했던 것이 후회로 남기는 했지만 그때 알지 못해 낭패를 보았던 경험 때문에 지금 알게 됐으니 그것만으로도 소득이 아닌가? 세상에 공짜는 없다. 지혜(wisdom)라는 값진 자산의 획득도 역시 지난날 낭패라는 대가를 지불하고 얻어지는 것인가 보다. 

헤겔의 말은 오늘날 더욱 절실하게 와 닿는다. 변화의 속도가 워낙 빨라 인간의 인식과 지식과 학문이 변화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다. 그에 따라 지식과 학문이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뒷북만 치고 있다. 변화를 따라가기에도 숨이 찬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수탉이 울면 새벽이 오고 얼마 안 있어 동이 트면서 태양이 떠오른다. 시계가 없었던 시절 수탉은 새벽의 전령사(messenger)였다. 어둠의 공포에서 벗어나 밝은 낮으로 가는 길목에서 수탉은 항상 밝은 아침이 멀지 않았음을 알려주는 신비한 존재였다. 동양의 옛날이야기에도 귀신이 쫓아오다가 닭 울음소리를 듣고 포기하고 돌아갔다는 스토리가 제법 많이 있다. 아마 서양에도 이런 옛날이야기가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연유로 새벽에 울음을 우는 수탉을 신성시하는 경우도 생겨난 것 같다.

서양인들은 갈리아지역(지금의 프랑스)이 닭의 원산지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닭을 ‘갈리아의 새’라고도 불렀다. 갈리아인들은 고대부터 수탉을 새벽의 신으로 신성시했다. 수탉은 갈리아의 신으로 숭상되기도 하고 갈리아 군대의 기장(旗章)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재 프랑스를 상징하는 동물은 수탉이다. 헤겔의 ‘미네르바의 부엉이’ 개념에 맞서 칼 마르크스(Karl Marx)가 제기한 개념이 ‘갈리아의 수탉(Gallia Rooster)’이다. 마르크스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수탉이 새벽에 울어 세상을 깨우듯이 철학도 그래야 한다는 것이다. 철학이 뒷북이나 치고 앉아 있다면 그건 죽은 학문이라는 것이다. 헤겔이 말한 것처럼 철학이 현실이 다 지나간 다음에야 겨우 이론을 정립하는 늙은이 학문이 아니라 현실이 오기 전에 그것들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선도자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유명한 <포이에르바하 테제>의 11번째 테제에서 마르크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지금까지 철학자들은 단지 세계를 다양하게 해석해 왔을 뿐이지만, 중요한 것은 세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르크스는 헤겔의 ‘미네르바의 부엉이’ 논리에 이를 비판하는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철학자의 사명은 시간이 지난 다음 뒤늦게 세상을 해석하는 게 아니라, 현실에 앞서 이론을 정립해 현실을 바꾸는 것이라는 것이다.

지구상에 존재했던 모든 기업들의 흥망성쇠 과정을 보면 '창업기 〉 도약기 〉 안정성장기 〉 침체기 〉 쇠퇴기 〉 폐업'이라는 공식이 예외 없이 적용된다. 장수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기업의 규모가 커지게 되면 초기에 있었던 고도성장은 불가능하다. 반드시 안정성장기로 접어들게 돼 있다. 이때가 문제다. 

네트워크마케팅의 경우 고도성장기에서 안정성장기로 간다는 것은 사업자들의 소득 증가속도가 갑자기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심리적 불안감이 조성됨과 아울러 단기적 이득을 취하려는 심리가 발동될 수 있다.
 

이런 전환기에 본사의 경영진과 리더급 사업자들이 어떤 행동을 취하느냐가 안정성장을 계속할지 아니면 침체기로 접어들지가 결정된다. 본사 경영진과 리더급 사업자들이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아니라 갈리아의 수탉이 돼 침체기가 오기 전에 미리 경고하고 대비해야 한다. 이때 모든 사업자들이 따르게 하는 게 관건인데 따르게 하는 핵심적 덕목은 신뢰이다. 본사 경영진과 리더급 사업자들을 파트너들이 믿지 못한다면 백약이 무효가 될 것이다. 신뢰는 어디에서 오는가? 화려한 미사여구에서 오지 않는다. 고통의 분담과 정의로운 분배에서 온다. 그리고 솔선수범에서 온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사용자는 [도구]-[호환성보기] 를 클릭하여 호환성보기를 해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로그인

    GLOBAL GSMC